12월, 2023의 게시물 표시

국물 과 간장 그리고 총효과 이자

이미지
  국수집에서 국물의 간을 맞추고 있습니다. 큰 그릇에 간장을 조금 넣은 국물이 있습니다. 건강에는 좋지만, 싱거워서 많이 팔리지 않습니다. 작은 그릇에 간장을 많이 넣은 국물이 있습니다. 너무 짜서 건강에 좋지 않고, 많이 팔리지 않습니다. 이 두 국물을 섞었습니다. 그랬더니 간이 적당 해져서, 국수가 잘 팔립니다. 숫자로 풀어 볼까요?  큰 그릇의 국물은 간의 농도가 4mL/100mL = 4% 였습니다. 작은 그릇의 국물의 간은 농도가 8mL/50mL = 16% 였습니다. 이 두 국물을 섞으면, 간의 농도가  (4mL + 8mL)/(100mL + 50mL) = 8% 가 됩니다. 대출에서 비슷한 상황이 있습니다. 4% 의 연이자로 1억 을 빌렸을때 연이자는 400 만원 이 됩니다. 만약 여기에 16% 의 연이자로 5천만원을 빌렸다면 추가 연이자는 800만원이 됩니다.  결과 적으로 1억 5천만원을 연이자 8% (=1천2백만 / 1억5천만)에 빌린게 됩니다. 만약 9% 이상의 이익을 낼수 있는 투자처나 사업처가 있다면, 충분히 빌릴 수 있는 이율입니다.   1억 원 x 4% = 400 만원 5천 만원 x 16% = 800 만원     1년 총효과 이자 1200 만원 / 1억 5천 만원 = 8% 저희와 대출자분들의 상호 이익이 많아지길 바라는 마음에, 후순위 대출을 합리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글을 적어 봤습니다. 모두 건승 하시길 희망합니다. 감사합니다.

등월분할 등일분할

이미지
안녕하세요. 데이터대부 입니다. 대출금에 대한 연이자를 월이자로 나누어 계산할때 실무 상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연이자를 12개월로 동일하게 나누는 "등월분할" 방식 이고, 다른 하나는 연이자를 365일로 동일하가 나누는 "등일분할" 방식 입니다. 등월분할 연아자를 12개월 로 동일하게 나눔 월 이자가 같음 등일분할 연이자를 365일 로 동일 하게 나눔 일 이자가 같음 등월분할은 매월 이자가 같으므로 월이자 계산이 편리하지만, 그 달의 사용일이 한 달을 꽉 채우지 않을 경우, 그 달에 한해, 해당월의 총 일수로 다시 등일분할 계산을 합니다. 등월분할과 등일분할의 이자를 아래와 같이 구글 스프레드시트 로 계산했습니다. 표 1 표1-(1) 에서와 같이, 연이자는 17% 입니다.   표1-(2) 를 보면 월과 그 월의 일수가 표기 되어 있습니다.  표1-(3) 는 "등월분할"로 계산 되어있습니다. 표1-(4) 는 "등일분할"로 계산되있습니다. 표1-(3) 을 보면 일이율이 매월 다르고 월이율이 매월 같습니다. 표1-(4) 를 보면 일이율이 매월 같고 , 월이율이 매월 다릅니다. 하지만 각 방식의 월이율을 합한 연이자는 각각 표1-(6) 과 표1-(7) 과 같이 17%로 동일 합니다. 즉, 1년에 내는 총이자는 동일 합니다. 표 1 (중복) 독자분께서도 직접 계산 해보실 수 있는데요. 이 시트의 함수는 아래와 같이 구성 되어 있습니다.  (표2 참조) $O$13 : 연이자 $N$N29 : 1년 총일수 (365일) N17 ~ N28 : 월의 총일수 O17 ~ O28 : 일 이율 R17 ~ R28 : 일 이율 표 2 법정이자는 연이자 20%를 초과 할 수 없습니다. 이 조건은 월이자 에서도 1.66666% 를 넘으면 안됩니다. 그리고 일이자 에서도 0.05479% 를 넘어서는 안됩니다.  개인적으로는 등일이자로 계산하여 일이자 기준으로 관리하는 것이 통일감이 있고 편리해 보입니다.